[한국검찰일보 오상택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뇌과학 선도융합 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23년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뇌과학 분야의 기초연구역량을 토대로 산업계, 의료계 등에서 즉시 활용이 가능한 선도융합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23년부터 ’32년까지 총 10년 간 4,5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 (선도융합기술 예시) 뇌파 측정을 통한 언어 소통 기능을 복원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전기적 자극을 통해 불면증·두통 등 만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부착형 전자약, 뇌신경계 손상 재건을 통한 뇌질환 치료 기술 등
’98년 「뇌연구촉진법」이 제정된 이후 정부는 매 10년마다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연구개발, 연구환경 구축 등을 지원해 왔으며, 국내 뇌과학은 ‘태동기’, ‘확충기’를 넘어 세계와 어깨를 견줄 수 있는 ‘도약기’로 진입하고 있다.
특히 선행사업인 뇌과학 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지난 15년간 발간된 SCI급 논문은 연간 19편에서 511편으로 27배, 특허 등록도 3건에서 92건 31배로 급격히 늘어났다.
또한 연구의 질을 가늠할 수 있는 SCI급 논문의 영향력 지수 평균값도 ‘08년 2.2에서 ’20년 5.2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내 뇌연구 역량이 양적, 질적으로 동시에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국내 뇌과학 연구가 여전히 국민이 체감하기 어려운 기초연구에 머물고 있어, 우수한 뇌과학 연구 성과를 기술 사업화 전단계까지 성숙시킬 수 있는 교두보 확보가 필요했으며, 이번 사업은 이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 사업에서는 뇌 기능·질환 시각화 기술, 개인 맞춤형 비침습적 뇌 피질 자극 기술, 신경망 제어 뇌질환 치료 기술 등 28개 분야에서 연구자 수요뿐만 아니라 기술을 활용하게 될 의료계,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하여 163개 과제를 선정하고, 과제당 연간 6~10억원을 최대 6년 간 지원한다.
각 과제는 “시장선도형”과 “미래선점형”으로 나누어 지원되는데, 먼저 “시장선도형” 과제에는 국내 기술수준이 높고,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분야 중 아직 실용화 단계까지 성숙하지 못한 국내 우수 기술을 선별하여 뇌산업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3년간 집중 지원한다.
그리고, “미래선점형” 과제는 앞으로 시장이 형성되거나 커질 것으로 보이는 유망 분야를 선제적으로 선정하여, 미래 기술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시장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래선점형” 과제 중 일부 유망한 기술은 과제 수행 중에 “시장선도형”으로 전환하여 추가 지원을 한다.
그리고 산·학·연 전문가, 의료계, 기술 투자계 등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성과컨설팅 위원회’를 구성하여, 개별 과제의 연구결과가 산업계, 의료계 등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초기 단계부터 밀착 지원을 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건 이상의 뇌과학 초격자 선도융합기술을 확보하고, 뇌질환 치료제, 전자약 전문기업 등이 새롭게 등장하거나 부각되면서 국내 뇌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고령화와 사회경쟁 심화로 인한 뇌졸중, 우울증, 조현병 등 뇌질환 정복의 계기가 되어 뇌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그간 축적된 뇌연구 성과와 연구 환경을 활용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실용기술을 확보한다는데 의의가 있다.”면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부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국내 뇌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되는 사업이 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